삼성증권 배당 착오 사태 이후 공매도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폐지 청원 참여자가 20만 명을 넘어 청와대가 공식 답변을 해야 하게 된 가운데 금융당국은 폐지하기 어렵다는 반응입니다.<br /><br />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삼성증권 사태 이후 지난 6일부터 공매도를 폐지해 달라는 국민청원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참여자가 20만 명을 넘어 청와대가 공식 답변을 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판 뒤에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주식을 다시 사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기법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삼성증권의 배당 착오 사태가 국내에서 불법인 무차입 공매도에 해당하느냐 여부입니다.<br /><br />무차입 공매도는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것이지만 삼성증권 직원들은 착오로 배당된 것이기는 하나 개인계좌에 찍힌 주식을 팔았습니다.<br /><br />공매도 폐지 찬성론자들은 삼성증권 직원들이 잘못 배당받은 주식을 매도한 것이 외형상 무차입 공매도에 가깝다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금융당국과 증권업계 안팎에서는 삼성증권 일부 직원들의 이른바 '유령 주식' 매도를 무차입 공매도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합니다.<br /><br />최종구 금융위원장은 "이번 사고는 공매도가 금지돼 있다 하더라도 생길 수 있었던 문제"라면서 "원인을 공매도 제도에 돌리는 것은 합당한 시선은 아니다"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공매도 제도가 다른 주요 선진국에서 다 운영되고 있고 공매도가 가진 여러 효용성이 있어서 무조건 폐지하자는 주장은 옳지 않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공매도는 주식의 거품을 빼고 하락장에서 유동성을 높이는 등의 순기능이 있지만 지나친 변동성과 작전·투기 가능성, 개인 투자자 피해 등은 문제로 지적돼왔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성호[sh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41204080268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