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보름 앞으로 다가온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수위 조절을 하는 것일까요? <br> <br>어제부터 우리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가 시작됐는데 두 가지가 빠졌습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영남을 비롯해 최룡해 등 북한 실세들이 줄줄이 주석단에 오릅니다. 전국 각지에서 대의원 687명이 모여 국가 예산과 정책 등을 논의하는 최고인민회의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주석단에서 김정은이 보이지 않습니다. 지난해는 무릎 꿇은 오수용 부위원장에게 열변을 토하며 지시를 내리기도 했지만 올해는 불참한 겁니다. <br> <br>한반도 정세에 대한 메시지는 없었고 오직 경제 얘기뿐입니다. <br> <br>[박봉주 / 내각총리] <br>"국가 경제발전 5개년 전략수행에서 커다란 전진을 이룩한 위대한 승리의 해였습니다." <br> <br>중앙보고대회도 힘을 뺐습니다. <br> <br>최룡해는 작년 이 자리에서 줄기차게 핵을 외쳤습니다. <br> <br>[최룡해 / 노동당 부위원장 (지난해 4월)] <br>"첫 수소탄 폭음이 세계를 뒤흔들고 핵 강국, 로켓 강국으로 솟구쳐올랐습니다. 누구도 넘보지 못하는 핵 보유 강국…" <br> <br>하지만 올해는 핵이란 단어가 한마디도 나오지 않았습니다. 남북, 북미 대화를 앞둔 만큼 나름 수위 조절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군부 힘 빼기도 눈에 띕니다. 국무위원회 인사를 단행하면서 황병서 후임인 김정각 총정치국장은 부위원장이 아닌 평위원으로만 임명했습니다. <br> <br>이에 따라 국무위 부위원장 구성은 당의 최룡해, 내각의 박봉주 '2인 체제'가 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promotio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