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13명의 사상자를 낸 제주 열기구 추락사고로 열기구 관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제주도는 강풍과 난기류가 잦아 사고 위험이 높았지만 열기구에 대한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합동 조사단이 사고 현장을 꼼꼼히 살핍니다. <br> <br>[고명권 / 제주지방경찰청 과학수사 계장] <br>"일차적으로 열기구 장비 내에서는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요." <br> <br>사고가 난 열기구는 밧줄을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유비행을 하는 형태입니다. <br> <br>제주는 강풍이 많이 불고, 바람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난기류가 잦습니다. 게다가 비행 지역은 송전탑 같은 위험 시설물이 많아 애초부터 사고 위험이 높았습니다 <br> <br> 비행 때마다 별도의 허가를 받지 않고,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이륙하는 것도 문제입니다. <br> <br>[사고 열기구 탑승객] <br>"제주도 날씨가 군데군데 다른데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보에 의존해서 하늘에 뜨고 12명 정도가 움직이는데" <br> <br> 허가만 해주고 관리는 허술했습니다. <br> <br> 탑승 인원을 신고하지 않아도 됐고, 헬멧 같은 안전장비를 갖추지 않아도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제주지방항공청 관계자] <br>"빠르게 날아가는 것도 아니고 바람을 초속 3미터 이하에서 하기로 했기 때문에 그건 빠른 바람이 아니잖아요." <br> <br> 국토교통부는 다음 주부터 전국 열기구 75대에 대한 특별점검에 나섭니다. <br> <br> 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ica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오훤슬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