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장지향 /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<br /><br /><br />전문가를 연결해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.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. 장 선생님 연결됐습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시리아 공습 임박을 시사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. 현지 시각으로 12일 트위터에서는 시리아 공격이 언제 일어난다고 말한 적이 없다고 한발 물러서는 듯했는데 결국 군사 공격을 개시를 했어요. 이런 의도는 뭘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글쎄요, 그러니까 우선 아사드 정권이 2월달에도 한번 화학무기 공격을 했거든요. 그런데 4월달에 또 해서 워낙 국제사회가 이거는 좀 도가 지나치다라고 생각하던 차에 트럼프 대통령 같은 경우는 작년에도 2017년 4월에 굉장히 비슷한 상황에서 이렇게 공격해서 토마호크 미사일을 59발을 발사를 했거든요.<br /><br />그때 국제적인 평가가 굉장히 좋았어요. 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굉장히 좌충우돌 어디로 튈지 모르는 사람이다라는 평가를 누르고 어쨌든 굉장히 강한 이미지를 선사했고 그리고 국제사회에서 절대로 용납을 할 수 없는 이런 화학무기 사용, 이런 레드라인을 넘어설 경우는 가만있지 않겠다라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줘서 심지어는 시리아 난민들한테도 좋은 평가를 받았거든요. <br /><br />보통 트럼프 대통령을 반무슬림 이민 행정명령을 직접 실행에 옮긴 사람이라서 무슬림들한테 평가가 굉장히 안 좋았는데 아사드 정권에 대한 군사행동을 씀으로써 트럼프의 이미지가 급격히 올라갔던 작년에 자신의 이런 국제적인 반응을 생각해서 이번에도 비슷한 경로를 밟지 않았나 싶습니다.<br /><br /> <br />사실 시리아 내전 7년 가까이 지속돼 오면서 끝나가는 것 아니냐 이렇게 생각이 됐었는데 지금 상황이라면 다시 확전되는 가능성이 크다고 봐야 될까요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글쎄요, 저는 확전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. 말씀하신 대로 시리아 냉전은 사실 작년 말에 IS가 격퇴되면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었거든요. 물론 결과는 해피엔딩은 아니었습니다. <br /><br />아사드 정권이 승자가 되어가면서 종전 단계로 넘어가고 있었는데 이 아사드가 자기에게 세가 유리하다고 생각을 했든지 요즘 굉장히 대담하게 두 달에 한 번씩 화학무기를 쓰니까 미국이나 서방, 국제사회 측에서는 이거는 정말 아니다라고 해서 지금 군사옵션을 쓴 거지 이 군사옵션을 써서 만약에 시리아 정부군이 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41411135601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