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세계 수입 2위 ‘껑충’…달라진 미국산 쇠고기 인식

2018-04-15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 10년 전 광화문광장을 가득 채웠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를 기억하십니까? <br> <br> 앞선 보도처럼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많이 바뀌었는데요, <br> <br>자세한 이야기 산업부 황규락 기자와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<br>황 기자, 우리 소비자들이 미국산 쇠고기를 그렇게 많이 먹는 건가요? <br><br>네, 표를 보시면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. <br><br>지난해 우리나라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우리 돈 1조 3천억 원으로 일본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습니다. 미국의 총 쇠고기 수출액의 17% 정도를 차지하는 건데요. <br><br>인구 규모를 고려하면 우리나라가 1위로 올라섭니다. 일본이 1인당 2.4kg, 멕시코가 1.9kg을 소비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1인당 3.5kg을 소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질문2]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움직임이 거셌던 10년 전엔 어떤 일이 있었는지 되짚어보죠. <br> <br>2008년 4월이었죠. 당시 수입이 금지됐던 미국산 쇠고기를 다시 수입하기로 하면서 조건을 달았는데, 그중 하나가 30개월 미만의 소만 수입한다는 것이었습니다. 그러나 이 소가 광우병에 안전한지에 대해 논란이 일면서 정부가 급하게 협상을 진행했다는 비판이 제기됐고, 문제가 커지면서 갑자기 미국산 쇠고기를 먹으면 광우병에 걸린다는 공포가 함께 확산된 겁니다. <br> <br>사람들의 분노와 공포는 커지는데 정부는 컨테이너로 거대한 벽까지 만들면서 사람들이 정부를 더 불신하게 되는 악순환이 벌어졌었습니다. <br> <br>[질문3] 당시 사람들이 두려워할 만한 많은 괴담들이 있었는데 그 이야기들은 지금 현실이 됐나요? <br> <br>당시 가장 유명했던 괴담들 몇 개를 가지고 왔습니다. <br><br>먼저 광우병은 화장품이나 쇠고기를 다룬 칼 등 접촉에 의해서 전염된다는 건데요. 물론 사실이 아닙니다. 인간 광우병은 광우병에 걸린 소의 뇌나 척수 같은 특정 부위를 먹을 때 걸리게 됩니다. <br><br>전 세계적으로 인간 광우병이 계속 퍼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요. 이 또한 괴담으로 판명된 내용입니다. <br><br>여기서 말하는 병은 크로이트벨트 야콥병이라는 질병인데요. 주로 유전적 요인으로 생기는 병이고 광우병 소를 먹어서 생기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. <br><br>그러니까 이 병에 걸렸다 해도 이게 광우병 소를 먹어서 생기는 건 꼭 아니라는 거죠. <br><br>또한 한국 사람이 유독 인간 광우병에 취약하다는 괴담도 있었습니다. 이 또한 광우병을 연구한 논문을 잘못 해석해 벌어진 일이었습니다. 당시 여기에 관해 이야기했던 전문가의 설명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> <br>[신희섭 / 기초과학연구원 단장] <br>"(해당 논문에) 유전자 타입에 따라서 광우병이 더 잘 생긴다 <br>안 생긴다는 데이터는 없죠." <br> <br>[신희섭 / 기초과학연구원 단장]<br>"당시 과학적인 근거가 제대로 없는, 그리고 과학적 데이터를 잘못 해석한 결과로 나타난 문제였었죠." <br> <br>[질문4] 그럼 10년 전에 우려하던 일들이 실제 일어나지 않았단 건데. 당시 의혹을 제기한 사람들은 지금 뭘 하고 있는 거죠 <br> <br>당시 이런 의혹을 앞장서서 제기한 사람들이 분명 있습니다. 대부분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자극적인 말로 공포를 부추겼었죠. 이들 가운데 일부는 자신들이 당시 그렇게 주장했기 때문에 검역 관리가 더 철저해졌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요. 하지만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는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저도 그 당시 어떤 사람들이 사회를 혼란으로 몰고 갔는지 기억하는데, 시청자들은 어떻게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. 지금까지 산업부 황규락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