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경공모 회원, 강연료 안내면 강등”…폐쇄적 등급제

2018-04-20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번 댓글 여론조작 사건의 진원지는 경제적 공진화 모임, 즉 경공모죠. <br> <br>이 모임의 실체도 서서히 드러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회원들은 모두 7단계의 신분제적 등급제로 구분됐는데요. <br> <br>상위 4번째 이상의 등급 회원만 '숨은 경공모'라는 비공개 카페 활동이 가능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는 숨은 경공모에서 강제 퇴출된 회원을 만나 경공모의 운영방식에 대해 들어봤습니다. <br> <br>이동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공모는 회원 등급에 따라 '숨은 경공모’와 '열린 경공모'로 나뉩니다. <br> <br>경공모 연간 운영비 11억 원은 2천6백명 회원들이 내는 강의료로 충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실제 강의료를 내는 회원은 2천6백명보다 훨씬 적다고 합니다. <br> <br>먼저 경공모 회원이었던 A 씨가 밝힌 사진을 보시겠습니다. <br> <br>숨은 경공모의 '인사 관리자'가 A 씨를 '강제 탈퇴' 처리한 뒤 보낸 메일입니다. <br><br>강퇴 이유로 돈을 지불해야 하는 "오프라인 행사 참석이 저조하고 동영상 강의 참여도 부족했다"고 적시했습니다. <br><br>이후의 활동은 '열린 경공모'에서 하라는 내용도 담겼습니다. <br><br>A 씨는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"돈을 내지 않아 '숨은 경공모'에서 쫓겨난 뒤에도 '열린 경공모' 활동은 얼마든지 가능했다"며 <br> <br>"월 9만 원의 강의료를 내는 회원은 대부분 '숨은 경공모' 회원 500명이었고, 나머지 '열린 경공모' 회원 2100명 중에선 소수에 불과했다"고 전했습니다. <br><br>이어 강의료와 비누 판매 수익 등으로 경공모 운영비 11억 원을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이처럼 자금 사정이 빠듯한 상황에서, 드루킹 김모 씨가 느릅나무 출판사와 월급 600만 원을 받는 근로계약을 맺는 등 자금 출처를 둘러싼 의혹은 더욱 커져가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> <br>mov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소희 <br>그래픽 : 조한규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