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경기도 오산에서 드라이비트로 시공된 원룸에서 불이 나는 아찔한 사고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 드라이비트에서 뿜어져 나온 연기 때문에 주민 10여 명이 다쳤는데 이런 건물이 서울지역 다세대 주택의 30%나 됩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6층 원룸 건물에서 연기가 마구 뿜어져 나옵니다. <br> <br> 그런데 연기가 건물의 한쪽 벽에서 집중적으로 솟구칩니다. <br><br>[오산시청 관계자] <br>"두 면만 드라이비트예요. 나머지 두 면은 까맣게 된 게 탄 게 아니에요. 그을린 거지." <br><br>연기가 많은 쪽은 '드라이비트' 공법으로 지었는데 안쪽에 스티로폼을 넣은 뒤 시멘트를 바르고 페인트칠을 하는 식입니다. <br><br>[이은후 기자] <br>"화강석으로 지어진 외벽은 불길에 그을리기만 했는데요, 바로 옆 드라이비트로 시공된 벽면은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, 심하게 찢기고 파손됐습니다." <br><br>서울지역은 원룸이나 빌라같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30% 정도가 드라이비트로 지은 건물입니다. <br><br> 시공기간이 짧고 비용도 훨씬 저렴하지만 불이 금방 옮겨붙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. <br> <br> 이 때문에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건 이후 6층 이상 건물의 드라이비트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창식 /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] <br>"(건축자재) 고급화를 해야 하고요. 불연재나 난연재 같은 것을 써야 하는 거죠. (안전과 비용 중) 선택을 해야…" <br><br>그러나 2015년 이전에 지은 6층 미만 건물은 무방비 상태입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완강기나 비상구같은 탈출통로를 최대한 확보해야 최악의 참사를 막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elepha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황인석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