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비핵화’ 공식 언급 안 한 김정은…속내 있나

2018-04-27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11년만의 만남에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됐던 부분이라면 역시 북한의 핵 문젭니다. <br><br>두 손을 꼭 맞잡은 남북 정상은 과연 어떤 결과를 냈을까요? <br><br>자세한 이야기, 하태원 국제부장, 정치부 최재원 청와대 팀장과 함께 합니다. <br> <br>1. 특이하게 합의문을 읽지 않고 남북 양측 정상이 각자의 입장을 따로 발표했군요? <br> <br>최재원) 네, 그렇습니다.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기자회견이란 것을 한 것 자체가 처음이죠. 그것도 남한 기자들을 상대로 첫 데뷔전을 치렀습니다. <br> <br>두 정상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면요. <br> <br>우선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“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다”, 또 “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하는 것이 공동목표라는 것 확인했다”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소중한 출발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반면, 북한 김정은은 문 대통령이 강조한 비핵화는 아예 언급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대신 온 겨레가 전쟁 없는 땅에서 행복을 누리는 새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합의였다고만 했습니다. <br> <br>1-1. 하태원 부장, 비핵화를 가장 기대했던 부분인데 김정은 위원장은 아예 꺼내지도 않은거네요. <br><br>(Q. 비핵화 관련 김정은 육성 없었나?) <br>"있지만 별도 기회에 말씀드리겠다." <br><br>2. 그리고 남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이 나온건데 최 팀장, 그럼 여기엔 그런 내용이 들어가 있었습니까? <br><br>네, 선언의 가장 마지막 부분인 3조 4항에 가장 핵심 의제였던 비핵화 문제가 담겼습니다. <br> <br>“남과 북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했다”는 내용입니다. <br> <br>우선, 남북 합의에 비핵화 의지가 담긴 것은 '1992년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' 이후 26년만이라는 점에서 평가할 만 한데, 북한이 기존에 반복해온 한반도 비핵화 입장만 되풀이한 것이다란 평가도 나오고요. <br><br>또 남과 북은 북측이 취하고 있는 주동적인 조치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단히 의의 있고 중대한 조치라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. <br> <br>그러면서 앞으로 각기 자기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로 했고 했습니다. <br> <br>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2-1. 그렇다면 하태원 부장, 각기 자기의 책임과 역할이라는 게 무슨 말입니까? <br> <br>자기의 책임과 역할, 문 대통령의 발표문에 힌트가 있어 보인다. <br> <br>문 대통령 “북측 먼저 취한 핵동결조치들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 가지고 있습니다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위한 소중한 출발 될 겁니다.” <br><br>3. 그런가 하면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목표에는 속도를 냈죠? <br> <br>최재원 : 네, 이번 회담 이후로 남북 간에 전면적 대화 교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예고했습니다. <br><br>우선 한반도 군사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당장 다음달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기로 했고요. <br> <br>6.15 남북공동선언일 등 의미 있는 날에 민족공동행사를 추진하자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8월 15일 광복절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하기로 했고 가을에는 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기로 했습니다. 개성에 남북 당국자가 상주하는 공동연락사무소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4. 그리고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점, 가장 위 1조에 보면 북한이 전부터 계속해서 강조해 왔던 ‘우리민족끼리’의 원칙을 다시 한 번 내세웠는데요. 하태원 부장, 이건 무슨 의밉니까? <br><br>하태원 부장은 계속해서 오늘 이야기를 함께 해 주시고요. 정치부 최재원 기자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<br> 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