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해 발생한 경북 포항의 지진을 두고 땅속에 물을 집어 넣는 지열 발전소 때문이냐, 아니면 경주 지진의 여파냐 의견이 분분했습니다. <br> <br>권위있는 국제 학술지에 관련 논문이 실렸습니다. <br>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11월 15일, 포항을 뒤흔든 규모 5.4의 강진. <br> <br>예상 복구비용 1천 8백억 원으로 지진 관측 사상 피해규모가 가장 컸습니다. <br> <br> 포항 지진의 원인이 지열발전소라는 국내 연구진의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'사이언스'에 실렸습니다. <br> <br> 연구진은 지열발전소가 물을 주입한 시기에 주목했습니다. <br> <br>그 결과, 땅에 물을 주입한 시기와 지진 발생 시점이 거의 일치했습니다. <br> <br>물 주입 위치와 진앙 사이 거리도 최대 600m에 불과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지열발전소에서 넣은 물이 단층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진한 /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] <br>"단층에 직접 물이 주입될 때는 적은 양이 주입돼도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죠." <br> <br> 하지만 정부와 다른 전문가들은 아직 단정 지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] <br>"올해 3월 1일부터 조사단 선정해서 조사를 시작했는데요. (내년까지) 조사단을 통해서 공정하게 조사한다는 입장… " <br> <br> 지열발전은 산자부가 민간기업에 의뢰해 진행한 국가 프로젝트입니다. <br> <br>지진의 원인이 지열 발전으로 최종 결론 나면 정부를 상대로한 피해보상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ring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장세례 <br>그래픽: 전성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