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멀게는 1990년대부터 가깝게는 올해 신년사까지, 서울과 워싱턴을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위협했던 북한이,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이 미사일 공격의사가 없다고 직접 문재인 대통령에게 밝힌 겁니다. <br> <br>이어서 최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박영수 / 당시 북한 조평통 부국장 (1994년 3월)] <br>"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. 전쟁이 일어나면 불바다가 되고 말아요." <br> <br>[조선중앙TV / (지난해 8월)] <br>"남조선과 일본, 태평양 작전 지대와 미국 본토의 타격 대상물들을 섬멸적인 초강력타격으로 초토화하여…" <br> <br>여기에 더해 김정은은 올 신년사에서 워싱턴 공격 가능성을 남겨놓았습니다. <br> <br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(올해 신년사)] <br>"미국 본토 전역이 우리의 핵 타격 사정권 안에 있으며" <br> <br>하지만 판문점에 선 김정은 위원장은 태도를 180도 바꿨습니다. <br> <br>[윤영찬 / 청와대 국민소통수석] <br>“(김정은 위원장은) 내가 남쪽이나 태평양 상으로 핵을 쏘거나 미국을 겨냥해서 그럴 사람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될 것이라며”<br><br>그동안 반미항전을 앞세워 체제를 결속시켰던 김씨 일가지만 한국과 미국을 공격할 뜻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겁니다. <br> <br>청와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일단 비핵화의 대가로 언급한 것은 경제지원보다는 체제보장이었습니다. <br><br>"미국과 신뢰를 쌓고 (6.25 전쟁) 종전과 불가침을 약속하면 왜 우리가 핵을 가지고 어렵게 살겠느냐"며 평화협정과 불가침조약 체결을 미국에게 우회적으로 요구했습니다.<br> <br>김정은은 5월 중에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 앉아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을 두고 본격 협상을 하게 됩니다. <br> <br>이에 앞서 북한 지도부가 내놓았던 수많은 발언에서 호전적 색채를 줄이기 위한 시도로 풀이됩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민병석 <br>그래픽: 박정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