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차두현 /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, 우정엽 / 세종연구소 연구위원<br /><br /> <br />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작업에도 탄력이 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<br />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질 장소로 판문점이 대두되고 있는데요. 관련 내용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, 우정엽 세종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 <br />북미 정상회담, 아직 시기와 장소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았는데요.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의 개최 장소로 판문점을 직접 언급을 했습니다.<br />먼저 들어보고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[도널드 트럼프 / 美 대통령 : 북미정상회담을 DMZ, 판문점 평화의 집이나 자유의 집에서 여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일이 제대로 잘 된다면 제3국이 아닌 그곳(판문점)에서 위대한 기념이 이뤄질 것입니다. 김정은은 지금까지는 아주 열려 있고 솔직합니다. 그는 핵실험장을 폐쇄하겠다고도 말했습니다.]<br /><br /> <br />북미 정상회담, 트럼프 미 대통령이 3, 4주 안에 개최할 용의가 있다라고 얘기를 했는데 아직 장소가 결정되지 않았는데요. 판문점 얘기가 나오고 있네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시기도 지금 당초 얘기한 것보다 당겨졌고요. 장소도 한 5곳 정도에서 두 곳으로 압축됐다가 지금 판문점이 다시 나왔거든요. 사실 판문점도 원래 처음 개최지 얘기할 때 얘기가 나왔었어요. 얘기가 들어갔다갸다시 나왔다는 얘기는 결국 북미 정상회담,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기대가 그만큼 높다라는 것을 의미하고요.<br /><br />또 지금까지는 아마 미국 같은 경우에도 폼페이오 방북 시에 이미 어느 정도의 상징적인 조치를 얻어낼지는 조율이 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돼요. 그런데 지금 재미있는 표현이 모든 일이 잘 해결되면이라고 얘기하지 않았습니까? 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 같은 경우에는 여기에다 북한이 조금만 더 뭔가를 양보를 하면 나는 갈 마음이 있다라고 얘기를 하는 거예요.<br /><br />여기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게 트럼프 대통령 같은 경우에는 주로 이미지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상징적인 의제들, 북한에 억류되어 있는 미국인들의 송환이라든가 그다음에 ICBM 문제, 이런 문제들이 주 이슈가 될 것이고요. 그러나 이제 의회의 동의라든가 백악관 내 참모진들이 얘기하는 일반적인 실질적인 성과까지를 얘기를 할 때는 아마 북한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50109234676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