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네이버에는 '실시간 검색 순위'라는 것이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 이시각 다른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검색하는지를 보여주지요. <br> <br>지금부터 두 가지 사례를 보여 드리겠습니다. <br> <br>인터넷 뉴스가 이렇게 한쪽 방향으로 몰리기도 하는구나를 알 수 있습니다. <br> <br>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작년 9월. 국회에선 김이수 헌재소장 후보자의 인준 동의안이 부결됐습니다. <br> <br> 그리고 한달 후 부결된 김 전 후보자가 다시 권한대행으로 임명되며 국정감사가 파행을 빚자 돌연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에 이런 말이 올라옵니다. <br> <br>"힘내세요 김이수." <br> <br>순식간에 실시간 검색순위에서 3위, 2위, 1위로 올라섭니다. 실검 1위 내용이 궁금해 클릭한 네티즌들로 조회수는 또다시 올라갑니다. <br> <br> 이후 인터넷 공간에서 김 권한 대행을 응원하는 글을 다룬 기사 수백 건이 쏟아졌습니다. <br> <br> 기사에는 특정 성향의 댓글들이 달렸고 인터넷 공간에서 이런 현상은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><br> 지난달 19일 프로야구 심판 구모 씨 논란도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> <br> 오심논란이 빚어진 심판의 이름이 실검에 오르자 해당 심판을 비판하는 온라인 뉴스와 댓글로 도배됐습니다. 댓글에는 심판의 부인 실명까지 노출됐습니다. <br><br> 이 과정 속에서 인터넷 여론은 마녀사냥처럼 흘러갔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네이버는 뉴스 유통자에 불과하다며 현재 실검 순위 선정 과정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 이번 드루킹 사건처럼 누군가 마음 먹고 여론을 조작해도 책임이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 반면 구글 등 해외 포털은 여론 왜곡을 막기 위해 첫 화면에 실검 순위를 노출하지 않습니다 <br> <br>[최진봉 /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] <br>"자체 편집을 통해서 기사의 우선순위를 정해서 제공하고… 네이버가 사회적 이슈의 의제를 설정하는 위험성도." <br> <br> 네이버의 침묵 속에 오늘도 인터넷 공간은 왜곡된 여론에 휘둘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 진 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박은영 <br>그래픽 : 서수민 <br>김 진 기자 holy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