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경제협력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민관의 움직임도 분주해졌습니다.<br /><br />경협이 본격화되려면 최소 연말은 지나야 한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,<br /><br />사업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박소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산업통상자원부는 북한 단천 지역 광산 개발처럼 당장 추진할 수 있는 것부터 준비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발맞춰 경제계 민간단체들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민간 싱크탱크를 출범시킨 대한상공회의소는 남북경협위원회를 부활시키고 북한의 조선상업회의소와 교류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경제인연합회는 유명무실해진 통일경제위원회를 되살리는 작업에, 무역협회는 남북경협을 연구·지원하는 기구 설치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[이경상 /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조사본부 상무 : 남북 경협의 민간 구심점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우리 정부와 기업 간의 가교 역할, 남북한 경제계 간 경제 교류협력 (방안을 논의 중입니다.)]<br /><br />[엄치성 /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장 : 투자 보장을 어떻게 해줄 것인지, 그런 제도적 부분 관련해서도 우리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서 정부에 제안하는….]<br /><br />사회간접자본, 즉 철도와 도로, 건설, 물류 분야 관련 기업들도 내부적으로 경협 사업 검토에 분주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[전중선 / 포스코 부사장 : 남북관계 개선에 대비해 비즈니스 기회도 검토한 것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. 기회가 된다면 우리 회사가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현재 민관이 모두 주시하는 눈앞의 산은 북미 정상회담입니다.<br /><br />비핵화 조치에 대한 의미 있는 선언과 실행 방안이 나오면 대북제재 완화 등 경협을 향한 타임 테이블이 갖춰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많은 기업의 참여를 끌어내려면 북한 경제개발 사업에 대한 지속가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관건은 중국, 러시아, 일본을 포함해 얼마냐 많은 나라의 공조를 끌어내느냐입니다.<br /><br />[이해정 /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장 : 국제사회 이해, 국민적 공감대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텐데요. 남북경협 재개를 위해서는 재개의 단계를 고민하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기존 개성공단 외에 새로운 협력 사업이 시작되려면 최소 연말은 지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50405314633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