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형주 / 前 더불어민주당 의원, 이상일 / 前 새누리당 의원<br /><br /> <br />대담 시간입니다. 국회가 멈춰 있죠. 앞서 전해드렸는데요. 정세균 국회의장이 정한 국회 정상화 협상 시한은 일단 2시였으니까 지났습니다. 관련 이야기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 김형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님, 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님 두 분 나와 계십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<br />어제 휴일인데도 두 분 나오셔서 국회 이야기했었는데 또 똑같은 얘기를 하게 될 것 같아요. 어쨌든 변화는 있었습니다. 지금 제가 조금 전에 협상, 이른바 국회의장이 정한 시한이 지났다 이렇게 얘기했는데요. 그러면 끝난 겁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아닙니다. 원내대표단의 회의는 일단 끝났습니다마는 원내수석부대표 간에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. 왜냐하면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 이유 중에 하나는 재보궐선거와 관련해서 14일까지 의원 네 분의 사퇴 수리를 해 줘야 하거든요. 그 부분이 만약에 여당 입장에서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 4곳의 선거를 치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 여당의 입장에서 3명의 국회의원이 없어지고 야당은 1명의 국회의장이 없어져서 전체적으로 6명, 5명 차이의 격차가 더 좁혀지는. 그래서 앞으로 국회 의사일정에 상당히 많은 압박감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 있기 때문에 최소한 14일까지의 사태 직전에 한번 일괄처리를 해야 하는 겉으로는 24일을 얘기하고 있습니다마는 그런 어떤 동인이 하나 있고요.<br /><br />어쨌든 야당은 바로 오늘이라도, 내일이라도 바로 드루킹 먼저 특검을 하자, 이렇게 요구를 하고 있고 또 청와대는 청와대대로 4월 6일날 국회에 제출했던 추경안에 대해서 벌써 한 달이 넘었고. 그동안에 상정된 것으로 보면 신기록을 깨는 그동안에 한 달 이상 국회 추경안이 이렇게 올리지 않고 계류된 적이 없었습니다. 10개 상임위 중에서 그런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압박, 또 국민들은 청와대에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국회의원의 세비를 왜 줘야 하느냐. 무노동, 무임금 이런 주장도 강하게 나와 있기 때문에 야당은 야당대로 압박감을 갖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지금 저는 끝나도 끝난 것이 아니다. 그래서 아마 오늘, 내일 중에 일정 정도 여러 가지 여당에서 특검 법안에 대한 조건을 여러 개 달았는데 그중에 가령 예컨대 우리가 보이콧할 수 있다, 거부권에 대한 부분을 양보해서라도 일정 정도 조정할 수 있는 여지는 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50814343648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