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뭔가 좋은 결과가 곧 나올 것 같았던 북미 정상회담에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날짜와 장소가 다 결정됐다고 했지만, 닷새째 감감무소식입니다. <br> <br>박정훈 워싱턴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장소와 날짜가 결정됐다고 처음 말한 건 지난주 금요일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4일)] <br>"북미 정상회담 장소와 시간이 모두 정해졌습니다. 우리는 날짜를 갖고 있습니다. 아주 특별한 일이 될 겁니다." <br> <br>하지만 곧 발표한다던 일정이 5일 째 감감무소식입니다. <br><br>백악관은 언론에 배포한 자료에서 "회담 장소와 날짜를 곧 발표하기를 희망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발표하고 싶지만 발표 못하는 사정이 있다는 듯한 뉘앙스입니다. <br> <br>워싱턴 조야에서는 미국이 영구적인 비핵화는 물론 생화학무기 검증까지 요구하면서 북미 간 물밑 조율에 이상 기류가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빅터 차 CSIS 한국석좌는 회담 취소 가능성까지 거론합니다. <br> <br>[빅터 차 / 국제전략문제연구소(CSIS) 한국석좌] <br>"회담 장소와 시기를 구체화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수록 연기되거나 취소될 가능성은 높아집니다." <br> <br>북한이 중국의 문을 재차 두드린 것도 미국과의 협상에서 난관에 부딪히자 SOS를 보낸 거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상대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트럼프식 협상법이 북미회담 성사 직전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박정훈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