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제목만 봐도 낚시성 기사 판별…‘족집게 AI’ 나온다

2018-05-08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아찔, 충격…이런 제목의 인터넷 기사를 보고 큰일이 난 줄 알고 클릭했다가 실망한 경우 많으실 겁니다. <br> <br> 이렇게 제목만 그럴듯하게 만든 소위 '낚시성 기사', 이젠 골라낼 수 있습니다. 그 인공지능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는데요. <br> <br>김태영 기자가 소개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고일주 / 대전 유성구] <br>"낚시인 거 알면 약간 당혹스러울 때도 있고 왜 굳이 이런 기사를 쓰는지 의문이 들 때도 있고…." <br> <br>[박도윤 / 대전 유성구] <br>"거짓인 것도 많아서 기사 보면 믿을 수가 없는 느낌이었어요." <br> <br> 자극적인 제목으로 네티즌의 검색을 유도하는 이른바 '낚시성' 기사들. <br> <br> 제목과 내용에 별 연관성이 없는 기사를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 <br> <br>한국과학기술원 박건우 박사 팀은 기사 제목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낚시성 기사 확률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. <br><br>"이 프로그램은 알파고의 기초가 된 딥 러닝 인공지능을 통해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기사 200만 개를 학습했습니다." <br> <br>제목과 본문의 단어를 분석해 비슷하지 않거나 전혀 다른 내용이 많이 나오면 낚시성 기사로 판단합니다. <br><br>다이어트 비법 기사에 마우스를 대보니 낚시성 기사 확률 88%가 나옵니다. <br> <br> 내용을 살펴보니 제목과 별 상관없는 쇼케이스 내용이 전부입니다. <br> <br>[박건우 /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박사] <br>"낚시성 확률을 계산할 때는 본문과 제목에 나타나는 언어적 패턴을 비교하고요." <br> <br> 숫자는 0부터 100까지 표시되며 높을수록 낚시성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 연구진은 보완작업이 끝나는 대로 판별 프로그램을 공짜로 배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liv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이재근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