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비판을 받아온 네이버가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논란이 됐던 댓글과 공감 표출 형식은 개별 언론사가 결정하는 방식을 따르겠다며 공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정미 기자!<br /><br />댓글이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거센 비판을 의식한 건가요, 네이버 대표가 직접 대책을 발표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오늘 오전 한성숙 대표가 직접 댓글 논란에 대한 개선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말씀하셨듯이 더 이상 자체적으로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는 게 핵심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지금은 휴대전화로 네이버에 들어가면 첫 화면에 뉴스가 뜨는데요.<br /><br />뉴스를 모두 없애고 첫 화면을 검색 위주로 재편하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첫 화면에 배열된 5개 기사에 3천만 명의 시선이 집중되는 것이 댓글 논란의 근본적인 문제라고 판단한 겁니다.<br /><br />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첫 화면에 자동 노출되지 않고, 원하는 이용자가 클릭해서 보도록 바꾸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개편 시점은 올해 3분기부터입니다.<br /><br />당장 다음 달로 다가온 지방선거 때 논란이 될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지방선거에 대비해 우선 이달 안에 정치와 선거 기사 댓글은 최신순으로만 정렬하고 보고 싶은 사람이 직접 클릭해서 들어가는 방식으로 변경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댓글 논란의 핵심은 뉴스에 한 사람이 여러 개의 댓글을 달거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여러 차례 공감, 비공감을 달도록 하는 것이었는데요. 댓글에 대한 대책은 없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댓글이나 공감 작성 방법은 개별 언론사가 선택하도록 공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뉴스를 선택하면 두 번째 화면에서 기사들을 볼 수 있는데,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최근 많이 거론된 '아웃링크' 방식인데요.<br /><br />이렇게 언론사 페이지로 들어가서 기사를 보게 되니까, 댓글 역시 해당 언론사가 결정한 방식대로 작성하도록 지원만 하겠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기사 전재료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은 각 언론사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언론사 절반 이상이 이런 '아웃링크'에 유보적인 입장인 만큼, 기존 '인링크' 형태를 유지하는 언론사가 댓글을 어떻게 관리할지는 논의가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.<br /><br />댓글 공감을 자동생성하는 '매크로 시스템'으로 여론이 왜곡되는 문제에 대해선 통신사 등과 협조해 계정을 관리하고 24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50914232756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