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이종근 / 데일리안 논설실장, 최진봉 / 성공회대 교수<br /><br /><br />지난달 초 극비리에 방북했던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이 40여 일 만에 다시 평양을 찾았습니다. 북미가 비핵화 방법론에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진전된 의견 조율이 이루어졌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 세 분을 모셨습니다.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이종근 데일리안 논설실장 그리고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나오셨습니다. 세 분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<br />외교 일정이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주제어부터 보시죠.<br /><br />이제 정말로 발표가 임박한 것 같습니다. 어떤 발표가 나올지 기다려봐야 할 것 같은데요. 최진봉 교수님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에 두 번째 간 이유, 조금 전 밝혀진 거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렇죠. 북한에 억류되어 있던 미국인 3명. 우리나라 출신입니다, 사실. 한국인이지만 미국 시민권을 갖고 있는 3명이폼페이오 장관과 함께 전용기를 타고 미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.<br /><br />북한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이번 3명의 석방을 통해서 미국에 좋은 사인을 보내는 거 아니겠습니까? 선의의 뭐랄까, 이번 비핵화 회담에 대해서 좀더 긍정적으로 대우해 달라고 하는 사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고요.<br /><br />또 비핵화 회담에 임하는 북한의 자세가 적극적이다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또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도 저 3명이 풀려남으로써 북한의 정치적 입지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는 김정은의 저런 호의를 통해서 본인의 정치적 입지가 강화되는 것이 있고 또 전 오바마 정부가 하지 못한 일을 본인이 해냈다는 정치적 성과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볼 때는 트럼프에게는 큰 하나의 정치적 성과를 줬다, 그것이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김정은 위원장과 만나서 뭔가 대화가 잘 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그런 어떤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<br />미국인 3명 석방 이 소식이 전해지니까 여러 가지 반응이 나왔는데 역시 트럼프 대통령 거래의 기술 저자답다, 역시 얻어낼 건 다 얻어낸다라는 반응이 나온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사실 억류자를 석방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. 북한 과거에도 보면 시간을 상당히 끌면서 미국을 애먹이고 최종 단계에서 이렇게 풀어줬는데 아무튼 이번에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50922491525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