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중일 친환경차 삼국지…‘디지털 계기판’ 승부수

2018-05-10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한중일 세 나라가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뜨겁습니다. <br> <br> 주로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가 그 대상입니다. <br> <br> 어떤 경쟁이 벌어지고 있고, 우리의 대응 카드는 무엇인지 김 진, 박수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세련된 외관에 넓고 큰 차체. <br> <br>중국 자동차 회사 동풍소콘이 오늘 선보인 '글로리 580' 입니다. <br> <br> 한국 시장을 공략하는 첫 모델로 친환경 차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UV를 선택했습니다. <br><br>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석유 엔진을 주 동력으로 쓰는 기존 하이브리드와 달리 전기 모터를 주 동력으로 쓴다는 점에서 더 친환경적입니다. <br> <br>한번 주유로 900km를 달릴 수 있습니다. <br><br>일본의 혼다도 새로운 어코드 하이브리드를 오늘 출시했습니다. <br> <br>주 동력인 석유 엔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전기 엔진을 극대화하는 기술로 리터당 19.2km의 연비를 자랑합니다. <br><br>한국의 대표 친환경 차는 현대차의 넥쏘가 꼽힙니다. <br> <br>수소로 전기를 만들어 달리는 넥쏘는 한 번 충전에 609km를 달릴만큼 앞선 수소 기술을 자랑합니다. <br> <br>차 내에서 초미세먼지의 99.9%를 정화해 깨끗한 공기를 배출합니다. <br><br>친환경차 시장을 잡기 위한 한중일 3국의 경쟁이 뜨겁습니다. <br> <br>전기 하이브리드를 앞세운 중국, 월등한 연비를 기록한 일본, 가장 친환경적인 첨단 수소 기술로 무장한 한국. <br> <br>치열한 이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 업계의 승부수는 뭘까요. <br> <br>그 현장을 박수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“우리 자동차업계의 승부수는 첨단화된 기술력입니다 <br> <br>운전석 앞에 보이는 이 계기판은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가 담긴 미래형 디스플레이인데요. <br> <br>그동안 써왔던 해외 유명 부품 업체의 제품은 이제 자체조달됩니다“ <br><br> 운전자 시선에서 보이는 전면 유리창입니다. <br> <br> 가상 화면에 주행속도와 내비게이션 정보가 적혀있고, 위험하게도 도로에 들어온 축구공과 어린이는 빨간색으로 변합니다. <br> <br> 앞선 차량이 이상 비정상적인 운행을 하자 차선을 바꾸라는 안내도 합니다. <br> <br>[최진영 / 현대모비스 연구원] <br>"가상현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 중이며 이러한 기술이 곧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도록" <br> <br> 미래자동차의 핵심 장치인 디지털 계기판은 7인치 크기로 생산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 자율주행 기술로 달리는 차량은 표시해야 할 정보가 많아 디지털 방식이 필수입니다. <br> <br> 5년 뒤 생산되는 자동차 5대 가운데 4대에는 디지털 계기판이 장착될 예정. <br><br> 7조원 정도였던 디지털 계기판 시장 규모는 11조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<br> 빠르게 진화하는 차량 계기판이 우리 자동차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김 진 기자 holyjjin@donga.com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박연수 채희재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이혜리 이재근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