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근대 외교전의 산역사 ‘하비브하우스’ 아시나요

2018-05-12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금으로부터 135년 전, 태평양을 건너온 미국 전나무를 조선 최고의 목수들이 깎고 다듬어 한옥 한채를 지었습니다.<br><br>고종 황제가 이 한옥의 뒷길로 '아관파천'을 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한데요.<br><br>황하람 기자가 곳곳을 살펴봤습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지난 1883년 우리나라에 세워진 최초의 외국 공관 하비브하우스.<br><br>미 국무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옥을 고집한 필립 하비브 대사를 기리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.<br><br>조선 왕실이 서양인에게 매각한 최초의 부동산이기도 합니다.<br><br>[마크 내퍼 / 주한 미국대사 대리]<br>"1882년에 조미수호통상조약 맺어서 2년 후 1884년에 이 땅을 샀어요."<br><br>이후 영국, 독일, 러시아 공관이 차례로 들어서며 정동 일대는 서양의 외교가가 됐습니다.<br><br>1976년 전통 한옥 기와집으로 개축한 하비브하우스는 전 세계 미국 대사관저 중 유일하게 주재국의 전통 건축양식을 따랐습니다.<br><br>내부는 한옥과 서양식을 결합했는데, 미국 오리건주에서 공수해온 더글라스 전나무로 대들보와 서까래를 세웠습니다.<br><br>솟을 대문과 격자창, 문고리 등은 한국 최고의 장인들이 만들었습니다.<br><br>중앙 접견실 벽난로에는 한자 편안할 '녕'이 새겨져 있고, 이승만 전 대통령이 부인 프란체스카를 위해 쓴 친필글자와 김구 선생의 '한미친선평등호조'도 눈에 띕니다.<br><br>ㅁ자 구조의 한옥 관저 안뜰에는 포석정을 재현한 연못도 있습니다.<br><br>하비브하우스가 한국 근현대사에서 갖는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아관파천.<br><br>당시 고종은 하비브하우스의 정원 뒷길을 이용해 러시아공사관으로 몸을 피했습니다.<br><br>아이젠하워, 카터, 아버지 부시 등 방한한 미국 대통령들이 이곳에서 묵었고, 지난해 방한한 멜라니아 여사도 캠페인 행사를 진행했습니다.<br><br>[마크 내퍼 / 주한 미국대사 대리]<br>"미국 재료하고 한국 건축양식 합쳐서 만든 집으로서 아주 상징적으로 우리 한미관계 그냥 눈으로 볼 수 있잖아요. 아주 좋습니다."<br>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<br>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기열<br>영상편집 : 최동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