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무부와 검찰에 근무하는 여성 직원 10명 가운데 6명이 성폭력이나 성희롱 피해를 경험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법무부 성희롱·성범죄 대책위원회는 법무부 장관에게 고충처리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라고 제도 개선을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재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지현 검사의 미투 폭로를 계기로 출범한 법무부 성희롱·성범죄 대책위원회가 성폭력 피해 실태를 전수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원 노출 우려를 덜기 위해 설문은 온라인이 아닌 서면으로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과는 심각했습니다. <br /> <br />설문에 응한 법무부와 검찰 여성 직원 7,400여 명 가운데 무려 4,500여 명이 성희롱이나 성범죄 성적 침해 행위가 있었다고 답한 겁니다. <br /> <br />임용 기간 3년 이하인 신입 직원들도 성희롱이나 성범죄 피해를 봤다고 답한 비중도 42%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공식적인 고충처리 절차는 유명무실했습니다. <br /> <br />법무부와 검찰에는 모두 259곳의 성희롱 고충심의위원회가 설치돼 있지만 지난 7년간 성폭력 고충사건을 처리한 사례는 18건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성희롱 고충심의위원회에 신고하지 않는 이유는 달라질 게 없다거나 오히려 불이익을 당할 것이 우려된다는 이유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대책위는 성범죄에 따른 고충처리가 실효성 있게 처리될 수 있도록 내부 절차를 전면적으로 개편하라고 법무부 장관에게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인숙 / 법무부 성희롱·성범죄 대책위원장 : 성희롱 등 고충처리 시스템을 일원화하고 소속기관별로 내부 결재하는 것을 폐지하라는 권고를 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또한, 성평등위원회를 설치해서 고충사건 처리를 점검하도록 하고 사건 관련자의 정보 접근을 철저히 제한하는 2차 피해 방지대책도 시행하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재민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51718040094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