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 <br /> <br /> <br />북한의 갑작스러운 대남 비난이 며칠째 계속되고 있습니다. 급기야 어제는 북한의 핵실험장 폐기 행사를 취재할 한국 기자단의 명단도 건네받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출렁거리는 남북관계, 김주환 정치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어제였죠. 남측 언론인 명단을 북한이 접수하지 않았는데 오늘도 그렇게 진전된 상황은 없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실은 어제 판문점 연락채널이라는 게 있습니다. 전화를 한다거나 팩스를 한다거나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있는데 우리 측이 한국기자단에 방송은 MBC가 됐고 통신은 뉴스1이 선정이 됐는데 명단을 전달하니까 북측이 받지 않았다는 게 어제 상황인데 오늘도 확인된 건 아닙니다. 간접적으로는 우리 판문점 연락채널을 우리 측은 열어놓고 있는데 그리고 전달하려고 시도를 하는데 북측에서 반응이 전혀 없는 것으로 이렇게 전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일단 당초 계획은 베이징에서 전세기편으로 해서 원산 갈마비행장으로 날아가서 거기서 풀 기자단은 다시 전용열차를 타고 함경 풍계리 폭파 행사 현장으로 가기로 돼 있는데 이것이 차질을 빚지 않느냐는 우려가 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죠. <br /> <br /> <br />말씀하신 것처럼 애초에는 5개국 기자단이 초청을 받았는데 우리나라 측 기자단만 접수를 받지 않은 것입니까, 아니면 다른 외국 기자단도 접수를 받지 않은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 사실은 외국의 상황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일부 언론에서는 외신 기자들에 대한 비자 발급이 좀 늦춰지고 있다고 하고 있는데 사실 중요한 건 한국과 미국, 중국, 러시아, 영국 이렇게 5개국만 북한이 당초 발표할 때 이렇게 선정을 했거든요. 그래서 일본 언론 같은 경우는 배제돼서 일본 정부가 유감 표명도 하고 그런 상황이었는데 어찌됐든 주변국 상황은 전혀 알 길이 없어요. <br /> <br />왜냐하면 이번 당사국은 초청 대상국이, 초청 당사자가 북한인데 북한이 이 부분에 대해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. 그래서 앞서 말씀드린 대로 현재 상황은 우리 것만 현재까지 파악할 수 있는. 그런데 또 북한이 워낙 급작스러운 행동을 많이 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오늘 밤이라도 입장 번복을 해서 명단을 다시 보내라, 이럴 가능성이 있죠. 보통 아침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판문점 연락채널을 가동하는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51918362125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