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평생 소탈한 삶을 살았던 고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오늘 자연으로 돌아갔습니다. <br> <br> 발인식에는 유족과 부회장단만 참석했는데요. <br> <br> 숲을 가꾸는 것을 좋아했던 고인의 뜻에 따라 장례는 화장 뒤 경기 곤지암 인근에서 수목장으로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재벌 가운데 이례적으로 나무 한 그루 밑에서 소박하게 영면에 들었는데요, <br> <br> 우리 국민의 장례 의식도 변해 수목장 선호도가 납골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김 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경기도의 한 수목장. <br> <br> 2만 7천 제곱미터의 넓은 공간에 총 400 그루 넘는 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. <br> <br> 고인의 유골을 나무 밑에 묻어두는 방식으로 봉분이나 별도의 납골당 없이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유골을 안치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 "제 옆에 있는 소나무 밑에는 열두 분의 유골이 묻혀있습니다. <br> <br>나무 명패와 주변 나무들이 어우러져 있어 성묘객들은 숲 속에서 고인을 추모합니다." <br> <br>[이경모 / 서울 마포구] <br>"저희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 늘 자연으로 돌아가시길 바라셨고…" <br> <br>[이범수/ 서울 양천구] <br>"가족들이랑 한번씩 오면 공기도 좋고 앞으로 우리나라 장례문화가 수목장으로 점차 확대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." <br><br> 국민의식이 변하면서 5명 가운데 4명이 화장을 선택했고, 수목장 선호도는 납골과 봉분이 없는 형태인 평장 등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현재 국공립 수목장은 전국에 5곳에 불과해 턱없이 부족하고, 가장 큰 국립수목장도 추모목의 60% 정도가 분양돼 지금 추세라면 3년 뒤 자리가 없습니다. <br> <br> 정부는 숲속에서 야영할 수 있는 캠핑장과 가족 공원을 함께 운영하는 방식의 수목장을 추가 조성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 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기섭 <br>영상편집: 이혜리 <br>김 진 기자 holy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