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여곡절끝에 국회는 어제 3조 8천억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통과시켰습니다. <br> <br>재난수준이라는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게 애초 목표였는데 결국은 ‘선심성’ ‘지역구 챙기기’ 구태가 반복됐습니다. <br> <br>김도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지난 17일)] <br>"청년 고용위기, 또 산업 지역 고용위기를 해결하기 위한…" <br> <br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(지난 15일)] <br>"선거용으로 담아온 내용에 대해서는 걷어낼 수 있을 것이고…" <br> <br>[오신환 / 바른미래당 원내수석부대표(지난 15일)] <br>"절대 졸속으로 예산안 처리는 되지 않을 것이며…" <br> <br>본회의를 미뤄가면서까지 엄격한 심사를 다짐했던 여야 <br><br>민주당의 '일자리 추경’ 구호가 무색하게 결과는 기존에 없던 SOC 사업이 가장 많이 증액됐습니다.<br><br>한국당은 세금 퍼주기가 아닌 꼭 필요한 예산만 반영하겠다고 으름장을 놨지만 시급한 예산으로 경로당 공기청정기 설치등을 내세웠습니다.<br><br>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며 몸값을 올린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예결위 간사들은 지역구 예산을 따로 챙겼습니다.<br> <br>의원들 스스로도 '졸속'이었다는 자조섞인 반성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[윤소하 / 정의당 의원(어제)] <br>"번갯불에 콩 튀겨 먹듯이… 국민 앞에요, 죄송할 뿐입니다." <br> <br>6ㆍ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표를 의식한 여야가 '졸속' '끼워넣기' 구태를 어김없이 반복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도형입니다. <br> <br>dodo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김지균 <br>그래픽 : 정혜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