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지방선거의 역사는 전쟁 통인 195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처음에는 지방의원들만 뽑았는데, 1960년 4·19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진 뒤 처음으로 자치단체장 선거가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 시절 선거 풍경은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4·19혁명의 열기 속에 제2 공화국이 출범하고 넉 달 뒤, 최초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의 동시 선거와는 달리 기초와 광역의원, 기초단체장, 광역단체장을 각각 다른 날짜에 뽑았습니다. <br /> <br />[대한뉴스 : 26일에는 시·읍·면장을, 29일에는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를 각각 선거하게 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서울시장 선거에는 무려 16명의 후보가 출마했습니다. <br /> <br />첫 합동연설회에는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2천 명이 넘는 청중이 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열기와는 달리 서울시장 선거의 최종 투표율은 30%대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추위도 추위지만 독특한 투표 방식이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[대한뉴스 : 그런데 서울시장 선거만은 입후보자 중 한 사람만을 골라서 그 이름을 써넣게 되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직접 이름을 적어야 하는 부담 때문에 글을 모르는 유권자들이 아예 투표를 포기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치열한 선거전 끝에 당시 민주당 소속이었던 김상돈 씨가 서울시장으로 선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초의 민선 시장의 임기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듬해 5·16 쿠테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이 지방자치를 폐지하면서 139일 만에 물러나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1991년, 지방의회가 부활하고 1995년, 자치단체장까지 뽑는 동시 선거가 치러지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60110073619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