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제2의 무령왕릉일까?...백제 왕릉 추정 무덤 발견 / YTN

2018-06-07 8 Dailymotion

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과 유사한 형태의 벽돌무덤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제강점기 때 처음 발굴기록이 있었지만 지난 79년간 직접 확인되지 않았던 건데, 조사단은 무령왕릉 이전에 만들어진 왕릉급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며 잔뜩 흥분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정한 크기의 벽돌이 차곡차곡 쌓여있습니다. <br /> <br />벽면은 터널처럼 위로 갈수록 좁아지고 바닥에는 아치형 천장을 받친 기둥 흔적이 확인됩니다. <br /> <br />충남 공주에서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과 유사한 형태의 벽돌무덤입니다. <br /> <br />무덤으로 들어가는 길이 없다는 점과 연꽃무늬 대신 무늬 없는 벽돌이 쓰였다는 점이 무령왕릉과 차이를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무덤 형태와 벽돌을 쌓는 방식을 봤을 때 무령왕릉보다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1939년 일제강점기 당시 이미 발굴 기록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무덤을 흙으로 덮어 버리고 정확한 위치조차 남기지 않아 그동안 현장을 다시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발굴자인 일본인 가루베 지온은 미완성 고분으로 규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조사단은 조선 시대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 등을 볼 때 백제 왕릉급 무덤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시신을 직접 매장했는지, 미완성 무덤인지는 확인이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현숙 / 공주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실장 : 무령왕보다 빠른 무덤의 형태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역사적 근거는 백제 시대 때 동성왕이 (중국) 남제와 교류를 하면서 중국적 문물을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일본인들이 벽돌무덤으로 규정한 곳 역시 석축 제단 시설로 추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이번에 발굴된 교촌리 벽돌무덤이 왕릉 격의 무덤인지 밝혀낼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곤[sklee1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60722404155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