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당근책과 달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'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', 즉 CVID를 다시 언급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권오혁 기잡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다시 북한에 대한 경고장을 날렸습니다. <br> 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 (어제)] <br>"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하고, 검증 가능하며, 불가역적인 비핵화가 우리가 용인할 수 있는 유일한 결과임을 분명히 해왔습니다." <br> <br>지난달 말 김영철 부위원장 면담 직후에도 CVID를 언급했지만, 보다 분명한 어조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압박한 것입니다. <br><br>2주간 이어져 온 판문점 비핵화 실무논의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음을 시사했지만, <br> 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 (어제)] <br>(북미간 비핵화를 둘러싼 인식차가 줄어들고 있나요?) "그렇습니다." <br> <br>미국이 원하는 방식의 핵폐기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. <br><br>성김 필리핀 대사를 대표로 한 미국 측 협상단은 정상회담 합의문에 CVID를 명기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, 북한 측은 "전쟁 항복문서에 서명하자는 것"이냐며 완강히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결국 비핵화 합의는 12일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간 담판에서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 <br> <br>hyuk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오수현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