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박근혜 정부시절의 '재판 거래' 의혹을 두고 김명수 대법원장이 이르면 내일 결심을 발표합니다. <br> <br>수사를 요구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 대신, 현직 대법관에게까지 책임을 묻는 '충격 요법'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성혜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그제 대법관과의 간담회 이후 숙고에 들어간 김명수 대법원장. <br> <br>[김명수 / 대법원장(지난 11일)] <br>"제가 차분하게 생각을 정리해서 결론을 낼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." <br><br>소장 법관 사이에서도 수사 촉구는 부적절하다는 기류가 흐르면서 김 대법원장이 '법원 자체 해결'로 결론을 내릴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. <br> <br>재판 거래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직권남용죄가 성립되는지를 두고 법원 내 의견이 엇갈리는 점도 이런 전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신 대법원 내에선 재판 거래 의혹에 연루된 판사들은 물론, 현직 대법관에게도 책임을 묻는 방안이 수습책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습니다. 현직 대법관의 '불명예 퇴진'이라는 초강수로 쇄신 의지를 확인시키자는 겁니다. <br> <br>사법행정권 남용 의혹 관계자들을 고발해야 한다며 단식 농성 중인 법원노조 측은 오늘 대법원 현관에서 연좌농성을 한 뒤, <br> <br>김 대법원장과 10분간 면담했습니다. <br> <br>법원노조는 촛불문화제를 열고 양승태 전 대법원장 고발을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성혜란입니다. <br> <br>성혜란 기자 sai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재평 <br>영상편집 손진석 <br>그래픽 안규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