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왕선택 기자, 김지선 기자 (싱가포르 현지) <br /> <br /> <br />어제 역사적인 첫 번째 북미 정상회담의 선언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.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고요. 이번 회담 결과에 대한 해석은 조금씩 엇갈리고 있습니다. 싱가포르현지 미디어센터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. 싱가포르 나와주세요. <br /> <br />[김지선 기자] <br />싱가포르 국제 미디어센터입니다. 북미 정상회담 취재 지원을 위해 마련된 이곳은 이제 뒷정리를 마치고 오늘 문을 닫습니다. <br /> <br />기다리던 북미 정상회담의 결과가 나왔습니다. 70년 넘게 적대관계를 맺어온 북한과 미국이 새로운 관계를 맺기로 했습니다. 또 예상했던 비핵화 담판은 나오지 않았지만 앞으로도 계속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. 전문가마다 이번 회담을 바라보는 평가가 엇갈리는데요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얘기 나누기에 앞서서 전문가들의 평가 잠깐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오경섭 /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: 이번 북한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인 합의가 나왔으면 좋겠다, 이런 기대를 많이 했고 그 기대의 사실 핵심적인 내용은 CVID, 핵 폐기에 대한 확실한 명시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런 기대치였습니다. 그런데 일단 그런 기대치에는 약간 미치지 못하는 이런 합의였던 것으로 생각이 되고요.] <br /> 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: 이 CVID가 직접 합의문구에 들어가면 상당히 좋겠죠. 그런데 차선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미국의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, 흔들림 없이 이행한다, 이 부분에 대해서 스스로 판단한 이것이 바로 CVID라고, 트럼프 대통령이 느낀다는 것이죠.] <br /> <br />[김지선 기자] <br />비핵화, 특히 CVID가 명기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상당히 엇갈리는 평가를 볼 수 있는데요. 앞서 오경섭 위원은 구체성이 떨어지고 CVID가 명기가 안 돼서 완전성이 떨어진다라고 하셨고요. 양무진 교수는 어차피 CVID라는 것이 미국의 기준인 이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을 CVID라고 인정을 했다면 크게 문제는 없다 이런 의견인데 어느 쪽 의견이십니까? <br /> <br />[왕선택 기자] <br />저는 양쪽의 어느 한쪽이라기보다는 다른 방면에서 생각을 하고 싶습니다. CVID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실은 미국 정부가 제시한 협상의 기준이었습니다. 그런데 CVID가 공동성명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을 받아도 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61310125868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