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인권참상을 조사하고 기록하기 위해 만든 북한인권재단이 출범도 못 하고 결국 사무실 문을 닫았습니다. 2년 가까이 정치 공방으로 이사진 구성을 못 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허공에 날린 예산이 20억 원입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'북한인권재단'이란 간판이 걸려있지만 문은 굳게 잠겨 있고 사무실은 텅 비어 있습니다. <br><br>"재단 출범이 계속 미뤄지면서, 매달 6,300만 원의 임차료를 감당할 수 없어 결국 이렇게 방을 뺀 겁니다." <br> <br>2년 전 북한인권법이 통과되면서, <br> <br>[정의화 / 당시 국회의장 (2016년 3월)] <br>"북한인권법안 대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." <br> <br>이후 사무실까지 마련했지만 여야 공방에 발목 잡혀 지금까지 재단 출범을 못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북한 인권 재단 이사진은 모두 12명. 이 가운데 국회 몫이 10명인데 여야가 추천 비율을 놓고 밥그릇 싸움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><br>결국, 지난 2년간 사무실 임차료를 포함해 재단 준비로 날린 헛돈만 20억 원에 달합니다.<br> <br>통일부는 이번 사무실 폐쇄는 순수하게 재정 손실 때문으로 북한 인권 정책과는 무관하단 입장입니다. <br> <br>[백태현 / 통일부 대변인] <br>"북한 인권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간다는 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…." <br> <br>하지만 일각에선 최근 대화 분위기에 맞춰 북한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인권 문제를 축소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김태균 <br>그래픽 : 김종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