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용 한파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8년여 만에 10만 명 아래로 내려앉았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 실업률도 5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로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7만2천 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취업자 증가세는 올해부터 눈에 띄게 약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부터 석 달 연속 10만 명대에 그치다 지난달에는 금융위기 여파가 미쳤던 2010년 1월 이후 처음으로 10만 명 아래로 내려간 겁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원인은 제조업 부진입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·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8만 명 가까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 판매업이나 소상공인 고용에도 영향을 미쳐, 도소매업 일자리도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빈현준 /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: 제조업의 증가 폭 둔화와 최근 2개월간의 감소세가 소매라든지 자동차판매, 도매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도소매를 작년 12월부터 6개월간 계속해서 감소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저출산으로 청소년이 줄면서 교육 서비스업 고용이 큰 폭으로 감소했고,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음식 숙박업에서도 일자리가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실업률도 최악입니다. <br /> <br />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5월에 몰려 있는 공무원 시험에 대규모로 응시하면서 5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 지위별로 보면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많이 받는 임시 일용직에서 23만 명 넘게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최저임금 때문에 고용이 줄었는지는 확실치 않다며 신중한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이 불안정한 저임금 노동자 일자리 감소에 일부 영향을 줬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유정[chayj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61515440916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