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연구진이 액체 금속이 고체로 응고하기 시작하는 순간을 포착해 온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이상적으로만 존재하는 표준온도를 처음 실현한 성과로, 우리의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는 쾌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온도에도 불변의 기준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체가 액체로 녹거나, 액체가 고체로 굳는 짧은 찰나 즉, 물질의 상(相:Phase)이 변하는 순간인 '액상선 온도'가 그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이 순간만큼은 온도의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물질마다 응고 온도와 용융 온도, 액상선 온도와 같은 다양한 상변화 온도를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온도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해 이상적 표준온도인 금속의 액상선 온도 측정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욱철 /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유체표준센터 : 얼기 시작하는 순간의 온도를 처음으로 측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고요. 이를 통해서 현재 국제 온도표준에서 가장 정확한 온도를 우리 한국이, 대한민국이 구현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국제 온도표준은 저온에서는 기체, 고온에서는 금속의 상변화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그동안 액상선 온도를 구현하는 기술이 없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압력제어식 온도제어 기술을 이용해 섭씨 231.928도 고온에서 기준을 정의하는 금속인 '주석'의 액상선 온도를 실현하고, 측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액체가 굳기 시작하는 순간의 온도를 측정한 이번 연구는 국제 온도표준의 정확성을 한 단계 끌어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미량의 불순물이 물질의 상변화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현 /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유체표준센터 : 재료의 근원적 물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고, 우주광학기기와 같은 첨단 기술이나 원자력 안전 분야, 반도체 제조 등 전자산업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연구결과는 측정과학 분야 국제적 권위지 '메트롤로지아' 최신호에 두 편의 논문으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61520363426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