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판 거래 등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에 관해 대법원장이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히면서 검찰은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다음 주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해 우선 증거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랜 고민 끝에 수사 협조를 택한 김명수 대법원장은 진상 규명 의지를 거듭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[김명수 / 대법원장 : 특별조사단에서 획득한 인적·물적 자료를 절차에 따라서 제공할 방침입니다.] <br /> <br />이제 공은 검찰로 넘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문무일 검찰총장은 절차에 따라 원칙적으로 수사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문무일 / 검찰총장 : 서울중앙지검의 보고를 받고 합의해서 수사가 원만히 진행되도록 하고 진실이 밝혀지도록 노력을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부터 시민단체 등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검찰에 고발한 사건은 10여 건. <br /> <br />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, 박병대 전 법원행정처장 등이 주요 고발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접수된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에 배당했던 검찰은 다음 주 사건을 재배당하고 수사를 본격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법원 특별조사단이 공개하지 않은 법원행정처 문건들을 제출받고 필요하면 압수수색도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법원행정처 근무 법관들의 컴퓨터에 있는 수십만 개의 문서파일을 복원하는 광범위한 디지털 포렌식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상고법원 추진 과정에서 '재판 거래'가 있었다는 의혹과 관련해 당시 법원과 청와대 인사들도 조사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법관들이 '재판 거래' 의혹은 근거가 없다고 반박하는 등 사법부 내홍이 여전해 수사가 진통을 겪을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지원[jiwons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61622204841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