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유엔이 정한 '세계 난민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유엔난민기구가 관련 보고서를 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세계 난민과 실향민 수가 6천850만 명으로 5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선 유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난민기구, UNHCR이 세계 난민의 날을 맞아 음울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전 세계 난민과 국가별 실향민 수가 6천850만 명으로 5년째 또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1년 전 6천560만 명보다 300만 명 가까이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[필리포 그란디 / UNHCR 최고 대표 : 먼저, 또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 늘었습니다. 난민 또는 실향민 수가 6천850만 명에 이릅니다.] <br /> <br />나라나 고향을 떠난 사람들의 70%는 시리아와 콩고, 소말리아 등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10개 나라 출신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사회가 이들 나라의 분쟁을 강 건너 불구경했다는 증거입니다. <br /> <br />[필리포 그란디 / UNHCR 최고 대표 : 10개 나라의 평화 정착에 큰 진전이 없었습니다. 지구촌 실향민의 70%를 낳는 나라들인데도 말입니다.] <br /> <br />6천850만 명 가운데 천6백20만 명은 지난해 새로 집을 떠난 사람들로 분류됐고, 이는 매일 4만4천 명이 이 대열에 합류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내전이 만 7년을 넘긴 시리아에서 630만 명이 나라 밖으로 빠져나갔고, 620만 명은 국내에서 실향민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 분쟁국인 남수단은 난민 수가 지난해 140만 명에서 240만 명으로 심하게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와 중동 난민들이 향하는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최근 난민 구조선 입항 문제로 갈등을 빚었고, 독일은 난민 수용 문제로 연정이 깨질 위기에 처했습니다. <br /> <br />난민 문제는 유럽 국가들을 뒤흔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파리에서 YTN 황보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62005512019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