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 <br /> <br /> <br />6. 12 군사 회담에서 합의한 유해 송환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. 앞서 전해 드린 것처럼 유해를 북한으로부터 넘겨받기로 한 관이 넘어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김주환 YTN 정치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아까 첫 소식으로 전해드리기는 했는데 미군 전사자 유해를 담은 빈관이 북측으로 전달되고 있다는 내용 다시 한 번 정리해 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희는 빈관이라고 표현을 했는데 주한미군이 좀 전에 기자들한테 공지문을 보냈어요. 그러니까 그 표현을 보면 나무로 된 임시 운송케이스, 이렇게 표현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사실상 관의 형태라고 되어 있었겠죠. 유해를 담을 수 있는, 유해라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이제 한국전쟁이 종결된 지가 오래 되었기 때문에 이제 인골 이런 형태가 되겠죠. <br /> <br />이런 부분을 예우를 갖춰서 담은 운송 케이스를 판문점을 통해서 북측에 한 100여 개 전달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이제 또 하나 주목해야 될 부분이 금속관을 자료 화면에서 지금 보신 형태로는 저런 알루미늄 금속관을 용산 미군기지에서 오산미군기지로 옮겼다. <br /> <br />갯수는 한 158개. 그러니까 답이 나온 거죠. 200여 구라고 했는데 이번에 전달받을 유해가 한158구 정도가 될 것이다라고 추정할 수 있는 조금 전에 미군 관계자들이 기자들한테 공지문을 통해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어쨌든 한 오늘 중으로, 아마 좀 며칠새에 계속 이런 유해를 담을 수 있는 함이라든가 관이 판문점을 통해서 북으로 전달되면 그건 북측 관계자들이 거기서 유해를 담아서 다시 운송하는 그런 순환 과정을 거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통해서 유해 송환이 이루어질지 예측을 해 본다면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 자료 화면에 앞서 보여드렸습니다만 판문점을 통해 과거에 두 가지 방식이 있었어요. <br /> <br />사실은 미북 간 유해 발굴이 1988년 태국에서 양측 참사관 회의를 통해서 했는데 실제 유해 발굴시장은 1996년도에 이뤄졌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지금 화면 설명을 드리면 2007년도 4월 당시 빌 리차드슨 뉴멕시코 주지사가 방북했을 때 판문점을 통해서 당시 유해 6구를 운송을 했던 방식이거든요. <br /> <br />저런 방식이 있었고 그 다음에 1996년도에 했을 때 미군 수송기가 북한을 들어가서 네 구의 유해를 담아서 일본 도쿄 근처에 요코다 공군기지로 이송을 한 적이 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62318263942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