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김 전 총리의 별세로 한국 현대정치를 좌지우지했던 '3김 시대'도 막을 내리게 됐습니다. <br> <br>대권을 놓고 서로 칼을 겨루기도, 때론 손을 잡기도 했던 세 사람의 애증 관계를 김설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김영삼 김종필 김대중. <br> <br>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들을 우리는 '3김'이라 부릅니다. <br> <br>JP는 61년 5·16쿠데타로 권부 깊숙이 발을 들였고 DJ와 YS 역시 40대 기수론을 내세우며 야당 지도자로 떠오르게 됩니다. <br> <br>이인자 견제와 야당 탄압으로 혹독한 시간을 보낸 세 사람이 정치사 전면에 주인공으로 등장한 건 87년 대선 때부터입니다. <br> <br>[김영삼 / 통일민주당 대선후보(87년 광주 유세)] <br>위대한 광주시민 여러분, 이것은 여러분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 일입니다.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서도 도움이 안 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민 열망에도 불구하고 후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집권 여당 노태우 후보에게 대권을 넘겨주게 됩니다. <br><br>이듬해 총선에서 김영삼, 김대중, 김종필 전 총재는 각각 영남, 호남, 충청의 표를 결집하며 여소야대 구도를 만들게 됩니다. <br> <br>한국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3김 시대가 열린 겁니다. <br> <br>이후 영원한 동지도 적도 없다는 걸 보여주며 세 사람은 합종연횡하며 대권 도전에 나섭니다. <br> <br>92년 대선에서 JP와 YS가 손을 잡았고 끝내 YS가 대권을 거머쥐자 DJ는 정계를 은퇴합니다. <br> <br>[김대중 / 민주당 대선 후보 (92년 12월)] <br>이제 저는 저에 대한 평가는 역사에 맡기고 조용한 시민 생활로 돌아가겠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다음 97년 대선에선 DJP 연합이 만들어지며 김대중 대통령, 김종필 총리 시대가 열립니다. <br> <br>하지만 내각제 개헌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서 DJP 공조도 깨지게 됩니다. <br> <br>2009년 김대중, 2015년 김영삼, 그리고 오늘 김종필마저 서거하면서 '3김 시대'도 막을 내리게 됐습니다. <br> <br>'3김'은 엄혹한 시기 민주화와 정권 교체를 이뤄냈지만 제왕적 총재와 지역 패권주의란 빛과 그림자도 함께 남겼습니다. <br> <br>[김종필 / 전 국무총리] <br>정치는 허업이라고 했어. 정치인이 열매 맺어놓으면 국민이 따먹지, 그 정치인이 먹는 것 하나도 없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설혜 입니다. <br> <br>sulhye87@donga.com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