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배상훈, 서울디지털대 경찰학과 교수 / 강신업, 변호사 <br /> <br /> <br />인천 월미테마파크에서 어린이용 놀이기구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을 했는데요. 먼저 사고 장면 영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어린이들이 타고 있는 회전그네입니다. 잠시 뒤에 지금 가운데 있는 둥근 부분 회전축이 쓰러지고 마는데요. 아이들이 넘어져 있죠. <br /> <br />주말 오후 인천 월미테마파크에서 어린이 8명이 타고 있던 회전 놀이기구가 저렇게 쓰러지면서 아이들이 다쳤습니다. 먼저 이번 사고 발생 경위부터 자세히 짚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경위랄 것도 없고 지금 상태로 보면 균형이 안 맞는, 아이들이 타고 있는데. 균형이 안 맞는다고 하는 건 정비가 불량했거나 아니면 허가 단계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두 가지가 되겠죠. <br /> <br />보통 저런 것은 오래 쓰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한 부분인데 문제의 핵심은 그겁니다. 저거 점검을 누가 하느냐. 점검의 주체가 아마 민간 협력단체 같은 형태가 되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국가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위탁받은 쪽에서 하기 때문에. 글쎄요, 책임의 문제가 분명히 연결될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안전진단을 석 달 전에 받았다고 하더라고요. 그래서 오케이를 받았는데, 양호하다 이렇게 받았는데 지금 사고가 났어요. 그런데 저 안전진단을 구청이나 시청에서 하는 게 아니고 민간업체가 하는 거라고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말하자면 그것을 위탁을 받은 무슨 협회라든가 이런 쪽,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. 그런데 문제는 그 협회의 전문성은 인정해 주지만 문제는 그 협회라는 것이 그거 하는 사람들이 위촉하는 것 아니겠습니까, 보통. 그런 부분이 사실은 거기에 부패가 있다는 말씀을 드리는 게 아니라 우리 구조적인 문제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어떤 구조적인 부분에 대한 걸 문제 제기했을 때 다음에 위탁을 안 주겠죠. 그러니까 적당한 형태로 대부분 표현이 타협이라기보다는 적당한 형태로 어떤 걸 하는 것보다는. <br /> <br />그래서 이런 것들이 고쳐지지 않는 겁니다. 이 사건이 사실은 이전에도 몇 달 전에도 생겼습니다. 그러면 반드시 시정이 됐어야 되는 건데 시정이 안 되고 또 똑같은 게 반복되지 않습니까? 이런 건 구조적인 문제가 되겠죠. <br /> <br /> <br />피해 어린이 부모는 직접 아이들을 구조하기 위해서 뛰어들었다고 하고요. 공원 측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라는 입장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62509230317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