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군포로 500명 생존 추정…‘끝나지 않은 6·25’

2018-06-25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68년 전 오늘 시작한 6.25 전쟁은 멈췄지만 북한에서 잡힌 국군포로들은 그 사이 '잊혀진 존재'가 됐습니다. <br><br>지금은 500명쯤 살아 있다고 추정되는데요. <br><br>전혜정 기자가 이들 국군포로 이야기를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<br>[현장음] <br>"(북한은) 중무장한 20만 병력으로 남침해왔습니다. 서울은 불바다가 되고…." <br><br>정전협정 직전인 1953년 6월, 강원 김화지구 전투에서 북한에 국군 포로로 잡힌 유영복 씨. <br><br>군복을 빼앗긴 채 탄광으로 끌려갔고, 강제 노역에 시달렸습니다. <br><br>[유영복 / 국군포로 생존자] <br>"정치사상교육을 시키더니 평안북도 철산군 모나지광산으로 집어넣더만. 그 때 갈 때 한 300~400명이 거기 갔어요." <br><br>자신은 지난 2000년 북한을 탈출해 남한 땅을 다시 밟았지만, 고향을 그리워하던 다른 포로들의 모습은 여든여덟 살 노병의 눈에 자꾸만 아른거립니다. <br><br>[유영복 / 국군포로 생존자] <br>"골병들어 죽고 나머지 사람들이 20% 살아있을까. 죽기 전에 고향 땅 밟아보겠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한 맺히고 죽어간 거지." <br><br>전쟁 이후 귀환하지 못한 국군포로는 1만 9천여 명. <br><br>이 중 북한에 생존 중인 포로는 약 500명 정도로 정부는 추산하고 있습니다. <br><br>북한에서 국군포로의 자녀로 태어난 2세들도 포로 생활의 비참함을 설명합니다. <br><br>[손명화 / 국군포로가족회 대표] <br>"우리 아버지는 전깃불도 못 보고 돌아가셨어요. (북한 당국이) 아버지를 총살해 평생 아버지도 못 본 사람도 있고… " <br><br>이제는 머리가 하얗게 센 노병의 소원은 포로 송환문제 해결입니다. <br><br>"우리를 찾아야 된다는 생각을 안 가지면 안 되잖아. 미군들은 유해까지도 계속 찾아가잖아요." <br>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 <br><br>hye@donga.com <br>영상취재 : 김용균 김명철 <br>영상편집 : 민병석 <br>그래픽 : 이승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