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수돗물에서 환경호르몬 검출됐다는 소식이 알려진지 엿새째, 대구 시민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환경당국은 수돗물까지 직접 들이키며 안전하다고 강조하지만 시민들의 불신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세살 난 아이를 키우는 이혜옥 씨. <br> <br>불안한 마음에 아이 양치질을 생수로 시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주아야, 치카치카 (양치질)하자." <br> <br>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, 신종 환경호르몬이 나왔다는 소식을 접한 뒤 부터 아이한테 쓰는 물은 모두 생수로 바꿨습니다. <br> <br>생수를 사다 밥을 짓고, 과일도 씻다보니 베란다에는 빈 페트병이 가득합니다. <br> <br>[이혜옥 / 대구 동구] <br>생수가 들어가는 것도 한계가 있고, 금액적인 부분도 부담돼서… 언제까지 이렇게 생수를 이용하고 써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." <br> <br>식당에는 수돗물을 쓰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붙었고 개인당 생수 판매를 제한하는 상점도 생겼습니다. <br> <br>[배유미 기자] <br>"생수를 사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오늘도 이어지면서 이곳 마트는 평소보다 2배 정도 많은 물량을 준비했습니다." <br> <br>환경부 차관이 대구를 찾아 수돗물을 들이키며 진화에 나섰지만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대기 / 대구 달서구] <br>"괜찮다고 먹으라고 하는데 그래도 찝찝해서. 우리는 수돗물 40년 가까이 끓여 먹었거든요. 불안해요." <br> <br> 지난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을 경험한 대구시민들로선 수돗물에 대한 공포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겁니다. <br> <br>대구시는 오늘부터 일주일에 세번씩 수돗물의 과불화화합물 농도를 검사해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. <br> <br>yu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