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나노 셀룰로스'라고 혹시 들어보셨나요? <br /> <br />나무로 만드는 차세대 나노 소재를 말하는데요, 기존의 황산 공정 대신 전자빔과 고압 균질기를 활용한 친환경 제조 공정이 개발돼 대량생산 연구에 새 전기를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나노 셀룰로스는 나무를 10억분의 1로 쪼개 만든 물질입니다. <br /> <br />나무를 1/1,000로 자르면 목재 칩이 되고, 이를 다시 1/1,000로 자르면 펄프, 또 1/1,000로 쪼개면 바로 나노 셀룰로스가 됩니다. <br /> <br />강도가 높고, 물에 대한 친화력인 친수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에 응용이 가능한 차세대 나노 소재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전자빔과 고압 균질기를 사용해 결정체 형태의 나노 셀룰로스 제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허민행 /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·UST 박사과정 : 목재로부터 얻어 낸 셀룰로스에 전자빔 처리를 하게 되면 셀룰로스가 전압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해서 나노 셀룰로스가 제조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기존 나노 셀룰로스 제조는 고농축 황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물과 에너지, 추가 투석공정이 필요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투입된 펄프의 약 30%만 최종 나노 셀룰로스로 나올 정도로 효율성이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나노 셀룰로스 기술은 기존의 황산 처리 공정이나 초음파 분쇄가 필요 없는 친환경적 공정으로 효율도 45∼60%로 높습니다. <br /> <br />열에도 안정적이고 결합력과 강도가 높아 센서나 건축자재는 물론 약물 전달체와 이식 보조물질, 피부 보습제품 등 바이오 의료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신지훈 /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장·UST 교수 : 이러한 생산 기술을 적용하면 좀 더 나노 셀룰로스를 저변화 시키고 생산을 산업체에 뿌릴 수 있는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성과는 청정화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로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'Green Chemistry'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62720344343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