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는 근무시간 단축으로 비상이 걸린 버스 업계에 내년 6월 말까지 탄력근로제를 적용해 급한 불을 끄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넘어야 산은 아직 많습니다,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도에서 시내버스를 운전하는 이정수 씨, 격일로 18시간씩 격무에 시달리다 보니 주당 70시간 넘게 일할 때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부터 근무 시간이 주 68시간, 1년 뒤엔 52시간으로 줄어들지만 반갑지만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수 / 경기도 시내버스 운전사 : 각종 수당이 많이 줄어들게 되는 건 사실이고 집에 형편상 어려운 부분이 많이 발생되고요. 탄력근로제가 실행되는데 그렇게 되더라도 장시간 근로를 하게 되는 건 사실상 똑같고요.] <br /> <br />탄력근무제는 노사 합의로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정해 평균 주 68시간을 맞추는 제도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첫주 76시간 일하면 둘째 주는 60시간으로 정하는 식입니다. <br /> <br />버스 기사들은 장시간 노동이 유지돼 근로 시간 단축의 취지가 무색해진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줄어들 임금을 사측이 보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측은 신규 인력 충원이 필요한 형편에 기존 인력의 임금까지 유지해야 한다면 경영난을 피할 수 없다고 반발해 갈등은 증폭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염태우 / 경기도 시내버스 운수업체 상무이사 : 노조에서는 기존 근무 제도하고 다른 것이 없기 때문에 탄력근로제를 수용할 수 없다고 나오고, 1일 2교대를 주장하고 있는 상태입니다. (내년 7월까지) 인력 확충이 지금 현재 상황으로 봐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.] <br /> <br />1년 동안 탄력근무제로 급한 불은 끈다 해도 주 52시간이 적용되는 내년 7월부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의 경우, 인력 확충이 제때 안 이뤄지면 운행률이 65%로 떨어지고 배차간격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경기도 시내버스 관계자 : 배차 시간이 10분 되던 게 17분이나 15분이나 20분으로 그대로 늘어날 수밖에 없죠.] <br /> <br />정부가 급히 준공영제의 전국 확대를 제시했지만, 준공영제가 정착된 서울의 경우에도 14년 동안 매년 2,200억 원씩 지원해서 가능했던 만큼 내년 7월까지 정착할지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근로시간 단축으로 버스 업계 경영이 악화하면 시민 불편은 물론 버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혼란을 최소화하고 공공성을 살릴 세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62904121353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