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주 52시간 근무 제도가 내일부터 시행됩니다. <br><br>우선 300인 이상 사업장부터 적용됩니다. <br><br>장시간 근로를 막아 삶의 질을 높이자는 취지인데요. <br> <br>하지만 근로시간을 어떻게 측정할 지를 놓고 산업현장의 혼란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조현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오후 6시가 되자, 사내 인터넷 접속이 자동으로 차단됩니다. <br> <br> 여력이 있는 대기업들은 정확한 근로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일찌감치 다양한 장치를 마련했습니다. <br> <br> 근로자 3백인 안팎인 중소기업은 준비가 덜 됐습니다. <br> <br>[송원곤 / PC 근태관리프로그램업체 부장] <br>"(빨리 설치해달라는 회사가) 많으시죠. 거의 대부분은 7월 2일을 기준으로 해서 요청하셨고…" <br> <br> 경총은 출퇴근, 휴게시간을 입력하는 프로그램과 연장근로를 사전 신청하는 제도 등을 추천하지만, 직장인의 복잡한 근무 형태를 모두 반영하는 것은 불가능해보입니다. <br> <br> 특히, 기간 내 제품을 완성해야하는 제조업체는 야근 없는 회사 운용이 불가능하다고 호소합니다. <br> <br>[A 씨 / 중소기업 관계자] <br>"(야근) 없을 수 없습니다. (주 52시간 위해) 저희 입장에서는 시스템을 다시 한 번 정리 해야하고… " <br> <br> 일감이 몰릴 때 인력을 추가로 뽑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. <br><br>[B 씨 / 중소기업 관계자] <br>"인력을 많이 고용할 수 있으면 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데 근로시간 단축하면서 그럴 여력이 사실상 (없죠.)" <br> <br> 산업현장에선 업종별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완 대책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박은영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