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혼란 키우는 당정…탄력근로제 두고 ‘엇박자’

2018-06-30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런 현장의 혼란을 정리해야 할 정부와 여당은 엇박자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 중에 대표적인 게 탄력 근로제인데, 정부와 여당의 목소리는 어떻게 다른지, 강병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탄력 근로제는 바쁠 땐 더 일하고 나중에 덜 일하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7월 이후엔 3개월 평균이 52시간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6개월 혹은 1년으로 연장을 요구하고 업종이 있습니다. <br> <br>제품개발을 앞뒀거나, 여름을 맞은 에어컨 아이스크림 업계가 그렇습니다. <br> <br>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중견기업 CEO들과 만나 동조했습니다. <br> 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지난 27일)] <br>"경제계가 '탄력근로제 확대해 달라' 했는데 적어도 3개월로 돼 있는 것을 6개월 정도 탄력근로제를 도입해야 하지 않느냐." <br><br>김동연 경제부총리도 비슷한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은 반대했습니다. <br><br>"6개월로 늘리면 노동시간 단축의 의미가 없다"는 겁니다. <br><br>[김영주 / 고용노동부 장관(어제)] <br>"(탄력근로제를) 활용하는 기업은 전체 기업 3.4% 밖에 없습니다. 제도가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않은 겁니다." <br> <br>혼란을 부를 수 있는 제도 시행을 코앞에 두고 정부여당이 엇박자를 낸 겁니다. <br> <br>민주당에선 홍 원내대표가 성급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><br>"여당 내부에서도 완전히 합의되지 않았다"는 겁니다. <br><br>엇박자가 드러나자 홍 원내대표는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><br>"단지 대안을 제시한 것 뿐"이라며 "생각도 같고, 갈등도 없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 <br>ben@donga.com 강병규 기자 <br>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김지균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