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공급 차질 사태가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부터 이른바 아시아나항공 '기내식 대란'이 시작됐죠. <br /> <br />기내식 탑재가 늦어지면서 항공기 출발이 무더기로 지연되고, 기내식이 없는 상태로 이륙하는 사태도 벌어졌는데, 그 여파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75편의 국제선 항공기 중 16편이 기내식 없이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10편 가운데 2편꼴로 '밥 없는 비행기'가 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한 시간 넘게 출발이 지연된 항공기도 수십 편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내식을 못 먹은 승객에게는 이코노미 좌석 기준 30달러, 비즈니스 좌석 기준 50달러의 상품권으로 보상하고 있지만, 승객의 불만은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내식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항공기 일정이 줄줄이 지연되는 걸 막을 만한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최대한 수습하는 중이라며 정상화되는데 2~3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내식 파동이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태는 아시아나항공이 기내식 공급 업체를 바꾸면서 발생했는데요. <br /> <br />금호아시아나그룹이 자금 마련을 위해 무리하게 기내식 업체를 바꿨다는 의혹이 있는데, 계약을 맺은 업체 공장에서 뜻하지 않았던 화재사고가 나고, 이에 하루 3천 명분의 기내식을 공급하는 소형업체와 임시계약을 맺은 겁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나항공이 필요한 하루 기내식은 2만5천 명분입니다. <br /> <br />업계에서는 기내식 업체를 바꾸기 전 애초 업체와의 계약을 임시 연장하면 이번 사태를 막을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기내식 공급 업체가 바뀌게 된 과정에서 부당한 요구가 있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도 들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실한 아시아나 기내식 실태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진이 올라오는가 하면, 차라리 편의점 도시락을 받아서 그것으로라도 기내식을 줘라, 라는 등의 비판과 조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승객뿐만 아니라 승무원들도 끼니를 때우지 못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승객 불만을 모두 수용해야 하니 그야말로 이중고를 겪는 셈이죠. <br /> <br />아시아나항공 측의 허술하고 체계적이지 못했던 기내식 공급 업체 교체가 자칫 운항 안전에도 영향을 주진 않을지, 소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70220201264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