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CVID' 대신 'FFVD'...'대북 회의론' 달래기 나선 美 국무 / YTN

2018-07-03 2 Dailymotion

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세 번째 방북을 앞두고 미국 정부가 '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', 'FFVD'라는 표현을 꺼내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정상회담 합의문에 담긴 '완전한 비핵화'의 개념보다는 더 명료한 기준을 제시한 셈인데, 대북 협상 회의론을 달래려는 포석도 깔렸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게재된 보도자료입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이 평양 방문에 이어 일본 도쿄에서 한일 지도부와 만나 이른바 'FFVD'를 논의한다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FFVD는 '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'의 약자로, 북미정상회담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전략 변화를 암시하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(FFVD는) 완료 시점보다는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, 혹은 볼턴이 말하는 1년 내에 어떠한 실효성 있는 조치 취하느냐, 방점이 앞부분에 와있다고 봐야 합니다. CVID는 최종적인 종료 시점에 방점이 가 있다면…] <br /> <br />미국 정부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시점까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핵 폐기에 목표를 둔 CVID를 견지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상회담 합의문에는 CVID 대신 '완전한 비핵화', CD라는 포괄적 용어가 담겨 비판이 일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보름이 지나도록 북미 후속 협상이 첫발을 떼지 못하면서, 미국 내에서는 대북 정책 회의론을 키웠습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비핵화 검증에 방점을 둔 'FFVD'로 목표를 세분화시킴으로써, 부정적인 여론을 잠재우려는 목적도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구체성과 불안정성을 많이 지적해왔거든요. (그런 면에서) 비핵화 의지가 더 강화된 표현을 집어넣어서 북미협상에 비판적인 세력들에게 '그게 아니다'라는 것을 표현하려는 의미도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대북 정책 전환을 예고하며 방북길에 오르는 폼페이오 장관이, 미국 정부가 목표하는 비핵화 방식을 얼마나 관철할 수 있을지 국제사회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[sj102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70318120008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