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배기찬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고문, 우정엽 /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<br /> <br /> <br />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이번 임무 과연 결론은 어떻게 날까요? <br /> <br />배기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고문, 우정엽 세종연구소 연구위원과 얘기해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 이제 평양에 도착했습니다. 그동안 물밑접촉이 있었고 정상 간 약속의 세부사항을 채우러 간다고 이야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문님, 이번에 담판을 지어야 될 주요 내용 뭐가 있다고 봐야 될까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많은 사람들이 지난 싱가포르에 북미 정상회담을 전체적인 비핵화를 위한 합의에 하나의 선물이다 이렇게 얘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우리가 보통 책을 보면 서문이 있고 본론이 있고 결론이 있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는 서문을 만들었으니까요, 이제는 본론을 만들어야 될 그런 내용이죠. <br /> <br />그러니까 구체적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어떻게 진행해 나갈 것인지. 그리고 거기에 합당한 북한이 원하는 체제 보장을 어떤 식으로 해나갈 것인지 그것의 방법론과 순서에 대한 이야기가 이번에 구체적으로 이야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 이 이야기는 이전부터 계속적으로 실무회담급에서는 많이 이야기되어온 것이죠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그동안 물밑접촉이 있었고 실무회담이 있었으니까 이틀이면 충분하다, 이렇게 볼 수 있는 상황인가요? <br /> <br />이틀이 부족한 거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동안 아까 말씀을 드린 대로 하면 본론을 쓸 수 있는 내용은 거의 다 논의가 되었고요. <br /> <br />그걸 구체적으로 문구화 하는 이런 작업들을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저는 생각을 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핵물질이나 핵시설이나 이런 것들을 신고하는 이런 내용도 좀 협의를 해야 되는 게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거든요. 중요한 내용이 아닌가 싶어요, 그 부분이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배 고문님께서는 이번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에서 많은 구체적인 내용이 이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시는 말씀을 하셨는데 어느 정도까지 나올지는 사실 아직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싱가포르 회담 이전부터 성김 대사 등이 최선희 부상 등과 여러 차례 협의도 하고 이번 방북을 앞두고도 협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거 이란과의 합의 과정을 보았을 때 걸린 시간을 보면 아직 많이 모자란 시간입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0616183550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