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금을 깎아줬더니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, 환경 규제를 강화했더니 관광객이 몰리는 도시, <br> <br>유럽에는 이렇게 규모는 작지만 사람을 자석처럼 끌어들이는 지방 소도시가 있습니다. <br> <br>반면 우리의 지방 소도시들은 인구가 점점 줄어 소멸 위기에 처해있죠. <br> <br>유럽의 강소 도시가 국토 균형발전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. <br> <br>배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울창한 숲 속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 들어선 3, 4층 건물들. 유럽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프랑스의 첨단과학 기술단지 소피아앙티폴리스입니다.<br> <br>1974년 첫 삽을 뜬 이후, 지금은 IBM과 세스코 등 1천4백 개 기업이 입주해 있습니다. <br> <br>프랑스 정부는 이곳에 창업한 벤처기업에 초기 3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주고 연구개발 비용에 대한 세제 혜택도 줍니다. <br> <br>기술단지 조성 이전 천팔백오십 명에 불과했던 인구는 35만 명으로 190배나 늘었습니다. <br> <br>[장 피에르 마스칼라린 / 소피아앙티폴리스 협회장] <br>"한 번도 일자리의 수가 내려간 적이 없습니다. 어떠한 위기에도 한 번도 내려간 적이 없습니다." <br><br>[배영진] <br>"인구 20만 명의 도시 프라이부르크 중심가에는 자동차를 찾아보기 힘듭니다. 대신 전기로 움직이는 트램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시내 중심부 차량 통행을 금지하는 등 엄격한 정책으로 '세계의 환경수도'라는 유명세를 타면서 지금은 만 명이 환경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,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도 이같은 강소 지방도시를 만들기 위해 국가균형특별법 개정안이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했습니다. <br> <br>[이승철 /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기획단장] <br>국토 13.8%인 수도권에 50%의 인구가 살고 있습니다.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생각합니다. <br><br>채널A는 국토 균형발전의 대안을 모색하는 특별기획 '균형 발전 행복의 나라 조건'을 이번 주말부터 2주간 방송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 ica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현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