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군 수사정보기관인 국군기무사령부가 최대 위기에 처했습니다. <br><br>이명박 정부 시절 댓글 공작 논란에 연루된 데 이어 박근혜 정부 시절 탄핵정국에서는 위수령과 계엄 선포를 검토한 문건까지 공개되자, <br> <br>전면 개편은 물론 해체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조직개편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황수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최 석 / 정의당 대변인(그제)] <br>"기무사는 즉각 해체돼야 마땅할 것입니다." <br><br>기무사 해체 주장에 이어 국회 청문회 개최 요구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[김관영 / 바른미래당 원내대표] <br>"구체적인 내용 파악하고 진상규명할 수 있도록 청문회 개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청와대 경호실과 기무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를 주장했습니다./<br><br>민주당은 기무사에 대한 전면 개편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국방부는 기무사 개혁TF에서 "기무사 전 예하부대에 대한 조직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취지를 왜곡해 기무사 흔들기를 하고 있다는 반박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김진태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촛불집회를 완전히 탄압하기 위해서 쿠데타를 기획했다. 이건 너무 오버한 겁니다. 완전히 왜곡한 겁니다." <br><br>자유한국당에서 법무특보를 맡았던 강연재 변호사는 "국민을 개돼지 수준으로 아느냐. 소설을 쓰고있다"며, 군이 마땅히 할 수 있는 일을 촛불집회와 연관시켜 왜곡된 비판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현재 기무부대는 서울을 포함해 광역시도 11곳에 설치돼 있습니다. <br><br>600, 601부대 등으로 불려 '60단위 기무부대'라고도 합니다. <br> <br>부대 요원은 서울 100여명을 비롯해 10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soohyun87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영수 추진엽 <br>영상편집: 김지균 <br>그래픽: 김민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