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과 미국이 비핵화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지만, 신경전은 가열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 해법을 바라보는 양측의 인식 차가 여전하다는 사실도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감스럽기 그지없다는 북한과 달리 회담이 진전을 봤다고 평가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이 강도 같은 요구를 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선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: 우리 요구가 강도 같은 것이라면 전 세계가 강도입니다. 우리가 이루기로 한 건 유엔에서 만장일치로 결정된 것들이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회담 직후 오간 신경전 속에 비핵화 해법에 대한 양측의 시각차가 여전하다는 것도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앞서 한미 군사훈련 중단은 언제든 재개할 수 있는 조치로, 돌이킬 수 없는 핵 실험장 폐기에 비할 바가 못 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 조치 하나에 체제 안전을 보장하는 상응 조치가 하나씩 이뤄져야 한다는 걸 내세우며 기존의 '단계적 해법'의 뜻을 고수한 겁니다. <br /> <br />반면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져야 안전 보장과 평화적 관계도 가능하다는 '포괄적 해법'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 대상에 핵무기와 미사일, 생산시설이 모두 포함되는 것은 물론 검증도 필수라며 북한도 이미 동의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: 모든 게 동시적으로 나가야 합니다. 북·미 간 평화적 관계 개선은 비핵화가 이행되는 것에 따라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양측이 비핵화 검증을 논의할 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했지만, 정상회담 이후 첫 고위급 회담에서 뚜렷한 이견을 재확인한 만큼 앞으로 협상도 난항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이 김정은 위원장 면담은 원래 예정에 없었다며 대수롭지 않은 듯 넘긴 것도 앞으로 있을 협상을 위한 기 싸움의 일부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0822003948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