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가 20대 국회 하반기 원 구성 협상에서 막바지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원내대표가 오늘 오전 국회에서 만났지만, 핵심 사안에서 극명한 의견 차이만 확인한 채 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이번 주가 원 구성 협상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데, 오늘 여야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내대표들이 오늘 오전 한 시간 반가량 만났지만, 이렇다 할 소득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에도 원내수석부대표들이 모여 추가 협상을 벌였지만,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문제는 역시나 각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법안이 본회의로 넘어가는 관문인 법사위를 둘러싼 민주당과 한국당의 갈등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당은 지방권력까지 장악한 정부·여당을 견제하기 위해서라도 법사위는 포기 못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민주당이 법사위를 고수하는 데에는 청와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, 민주당이 즉각 반박하는 등 설전이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: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에 많이 임하고 국회 운영을 많이 해본 경험이 있는 민주당이 상식에 맞지 않는 주장을 하는 것은 (청와대가 뒤에 있다는) 의심을 할 수밖에 없는 거죠.] <br /> <br /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제가 아까 협상장에서도 고성이 나오면서 항의했습니다. 아니, 협상하고 있는데…, 이게 무슨 원 구성 협상이 청와대랑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.] <br /> <br />민주당은 민주당대로, 전반기 국회 원 구성 당시 여당이었던 한국당이 법사위를 맡았던 만큼, 이번에는 민주당이 맡는 게 합리적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의 개혁을 뒷받침할 각종 입법 작업이 법사위에서 번번이 좌절되는 것도 더는 용납 못 한다는 결기도 강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상임위 통과 법안의 '발목잡기' 수단으로 악용돼왔다는 비판을 듣는 법사위의 체계·자구 심사 제도를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조건으로 접점을 찾으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는 원내수석부대표를 중심으로 협상을 이어갈 방침인데요. <br /> <br />원내대표들이 오늘 늦게라도 다시 만날 수 있을 정도로 접점을 찾을지는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럼 국회의장단 선출이나 다른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서는 여야가 어느 정도 합의를 한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법사위를 뺀 다른 상임위는 종전 관행에 따라 배분될 것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0915542119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